[글로벌 이야기]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의 글로벌 시장 전망 및 활용 사례

[글로벌 이야기]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의
글로벌 시장 전망 및 활용 사례

Written by MegazoneCloud

들어가며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은 현실 세계의 자산이나 시스템을 가상 공간에 복제하여 분석하고 예측하는 기술이며, 제조업, 건설업, 에너지 산업, 스마트 시티, 의료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어느 국가에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가장 활발히 활용하고 있을까요?
  • 북미(미국, 캐나다)
  • 아시아(중국, 일본, 한국 등)
  • 유럽(독일, 영국, 프랑스 등)
이번 본문에서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의 글로벌 시장 전망을 살펴보고, 각국의 산업에서는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 지 사례를 통해 소개해볼까 합니다.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에 대한 기술 설명이 필요하시다면 지난 게시물을 함께 읽어보시면 더욱 재미있게 본문을 읽어보실 수 있답니다.

북미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시장 전망 📈

Dimension Market Research에서 발간한 Digital Twins Market Is Expected To Reach a Revenue Of USD 412.0 Bn By 2033, At 36.9% CAGR: Dimension Market Research를 살펴보면, 미국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시장은 2024년 73억 달러(약 10조 2,200억 원)에서 2033년 1,048억 달러(약 146조 7,200억 원)로 성장하며, 연평균 성장률(CAGR)은 34.5%로 예상됩니다. 또한, 북미는 2024년까지 35.5%의 점유율로 전 세계 디지털 트윈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북미에는 어떤 대표적인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사례가 있을까요?

북미 │NASA – 우주선 및 우주 정거장 시스템 디지털 트윈

영상 출처 ⓒ Lockheed Martin
나사(NASA)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가장 먼저 도입한 곳 중 하나입니다. 우주선의 부품, 시스템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국제우주정거장(ISS), 우주선, 로켓 시스템의 장애 예측과 유지보수를 위해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활용하고 있습니다.

북미 │GE Digital – Predix 플랫폼

General Electric(GE)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의 선도 기업이며, 해당 기업의 산업용 IoT 플랫폼인 Predix항공기 엔진, 터빈, 발전소, 철도 등의 운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항공, 에너지, 제조, 철도 분야에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능 예측, 유지 및 보수를 위해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북미 │Siemens USA – Smart Infrastructure & City Planning

영상 출처 ⓒ Siemens
Siemens USA는 건물, 도시 인프라, 교통 시스템 등 도시 인프라에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을 적용해 스마트 시티(Smart City) 구축 사업을 추진 중이며, 에너지 관리, 교통 흐름 분석, 탄소배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Siemens Xcelerator 고객 사례를 통해 확인해보실 수 있답니다. 

아시아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시장 전망 📈

ResearchAndMarkets.com에서 발간한 아시아 태평양 디지털 트윈 시장 분석 및 2033년까지의 예측 보고서 – Industry 5.0에서 디지털 트윈의 역할 보고서를 살펴보면, 아시아 태평양 디지털 트윈 시장은 2023년 25억 달러(약 3조 5,000억 원)에서 2033년까지 2,565억 달러(약 359조 1,000억 원)에 도달하며, 2023-2033년 동안 연평균 성장률(CAGR)은 58.64%의 성장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일본, 한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는 산업의 효율 성을 높이고 비용 절감을 하기 위해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적극적으로 산업에 도입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중국│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공장 구축

중국 최대의 디지털 딜리버리 플랫폼이 디지털 트윈 공장 건설 기법으로 구축되었습니다. 산시(陝西)석탄화학공업그룹 위린(榆林)화학회사는 5G·사물인터넷(IoT) 등 차세대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석탄화공 분야에서 스마트 제조 시범 공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공장의 모든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업무 효율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중국│양쯔강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중국은 양쯔강의 광대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구축하여 홍수 예방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날씨, 물 흐름, 에너지 수요에 대한 데이터를 통합하여 전체 유역의 3D 모델을 만들고, 이를 통해 홍수 예측 및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일본│도쿄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도쿄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프로젝트 2030년 까지 도쿄 전역의 건물, 도로, 지형 등을 3D로 모델링하여 가상 공간에 구현하는 사업입니다. 도시의 물리적 환경을 가상 공간에서 정확하게 파악 후 분석하며, 실시간 데이터 연동을 통해 일조량, 풍량, 교통 상황, 인구 밀도 등 다양한 도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3D 모델에 반영하여, 도시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예측하기 위해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일본│ 플라토 프로젝트(Project PLATEAU)

플라토 프로젝트(Project PLATEAU)는 일본 국토교통성이 주도하는 3D 도시 모델 구축 및 개방 프로젝트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도시 계획, 재난 방지, 인프라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효율성을 높이고, 스마트 시티(Smart City)를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궁금하시다면 국토연구원에서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정보를 얻어보실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일본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다른 게시물을 함께 읽어보세요.

한국│5G 기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SK네트웍스서비스는 센트랄 창원공장에 5G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반의 관제 서비스를 도입하였습니다. 또한 자율이동로봇(AMR)을 활용하여 공장 물류 자동화를 실현하였습니다.

한국│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 수출

한국의 기업인 네이버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주요 5개 도시에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구축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수주하였습니다. 이는 한국 IT 기업이 중동 지역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필수 인프라를 담당하게 된 사례로, 네이버의 기술력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것을 알 수 있는 사례입니다.

유럽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시장 전망 📈

Fortune Business Insights의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은 전 세계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시장에서 세 번째로 큰 지역이며,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은 43.7%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Research Nester의 보고서에서는 글로벌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시장 규모가 2024년에 200억 7천 만 달러를 초과하고, 2037년까지 약 1조 5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 기간 동안 연평균 성장률(CAGR)은 약 37.1%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유럽│IoTwin 프로젝트

유럽에서는 산업 4.0 환경에서 분산형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구현을 목표로 IoTwins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유럽연합(EU)의 Horizon 2020 연구 및 혁신 프로그램의 자금을 지원 받았습니다.

유럽DUET 프로젝트

DUET(Digital Urban European Twins for smarter decision making) 프로젝트는 도시 인프라 및 시스템의 가상 표현을 개발하여 도시 계획 및 관리에 활용하는 것을 목표하며, 프로젝트의 총 예산은 450만 유로(약 66억 6천만 원)이며, 그 중 약 400만 유로(약 59억 2천만 원)를 유럽연합(EU)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프로젝트 소개 웹사이트에서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오늘은 이렇게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의 글로벌 시장 전망 및 국가별 활용 사례에 대해 소개해봤는데 재미있게 읽으셨나요? 메가존클라우드에서는 메타비즈니스 플랫폼센터를 통해 여러분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 도입에 대한 전문가의 상담 및 지원이 가능하니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편하게 문의 주세요.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메클레터 구독하기
🧰 IT 고민? 글로벌 비즈니스 고민? 한 번에 상담하기


글 │메가존클라우드 마케팅그룹 김주성 매니저
게시물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이런 콘텐츠도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