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Summit] 생성형 AI의 주요 트렌드와 비즈니스 혁신 전략
들어가기
1편을 보면 아시다싶이 이번 Summit이 5개 세션으로 구성되었는데요. 사실 5개 트랙 세션을 모두 참석하고 싶었지만 저는 이중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트랙2: 생성형 AI’의 세션을 신청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본문을 통해 소개드려볼게요

생성형 AI의 주요 트렌드와 비즈니스 혁신
생성형 AI 활용 관점 (2가지)
2️⃣외부적 관점=고객 중점
이러한 기준에 따라 AWS Korea의 생성형 AI 고객 사례는 2025년 2월 기준 총 66건이며, 그중 24건은 고객 중심(외부적 관점) 사례이며, 또다른 44건은 회사 내부의 생산성 향상(내부적 관점)의 사례가 있다고 합니다. 단, 66건은 공식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수치(해당 고객사의 허가를 받은) 기준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비공식 또는 진행중인 생성형 AI 고객 사례를 훨씬 많을 것을 유추해볼 수 있었습니다.
생성형 AI 활용 부문
2️⃣ 운영 개선 (회사 중점(내부) & 고객 중점(외부))
3️⃣ 창의/창조 (회사 중점(내부) & 고객 중점(외부))
4️⃣ 고객 경험 강화 (고객 중점(외부))
1️⃣ 생산성 강화 (회사 중점(내부))
2️⃣ 운영 개선 (회사 중점(내부) & 고객 중점(외부))
3️⃣ 창의/창조 (회사 중점(내부) & 고객 중점(외부))
생성형 AI 덕분에 이제는 캐릭터를 2D가 아니라 3D로 디지털 휴먼을 구성하여 고객과 소통할 수 있도록 이미지 구현 기술 수준이 상당수준 올라으며, 이처럼 ‘디지털 휴먼’ 캐릭터를 통해 고객과 소통하고 다가갈 수 있게 되죠. ‘디지털 휴먼’을 활용한 비용 50% 절감 사례는 AWS 홈페이지에서 자세히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4️⃣ 고객 경험 강화 (고객 중점(외부))
Rufus
생성형 AI에 대한 기업의 기대사항
- 특정 언어를 이해하고, 자연스러운 형태로 표현(용어/문자/방식)
- 우리만의 정보를 안정하고 확보하고 응답
- 요청사항에 맞는 정보를 탁월하게 분석
- 분석된 정보에 대한 필요한 사항을 실행할 수 있는 역량
생성형 AI 관련 관찰 사항과 예상
- 2023년: FM(파운데이션 모델)을 사용하여 단순히 결과를 얻는 것 자체가 중요 (But, Biz Value 및 위험과 비용에 대한 관심은 부족)
- 2024년: FM(파운데이션 모델) 최적화(파인튜닝 등) (더불어, 가성비 및 ‘데이터에 대한 인식’의 중요도 증가)
- 2025년: 생성형 AI를 활용한 차별화! (멀티 모델 모델 범위 확대 및 Agentic AI 등 기술 고도화)

Claude Multi-model
그 중 Claude Multi-model는 사진을 통해 단순히 사진을 묘사하는 것 뿐만 아니라 분석과 인사이트를 줄 수 있는 수준까지 발전했는데요. 가령 제가 Partner Summit Seoul 2025의 현장 사진을 프롬프터로 제출하고 이에 대해 분석해달라고 하면, 사진에 보이는 현장을 텍스트로 묘사하는 것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묘사를 통해 이러한 홍보 제작물 속 문구에서 이 행사의 목적과 대상까지 분석하는 코멘트까지 함께 받아볼 수 있습니다.

Amazon Prime
Amazon Prime을 활용하며 생성형 AI를 통해 영상을 요약한 사례를 통해 3분 요약 영상을 제공 받을 수 있는데요. 가령 10편의 장편 시트콤 영상을 주고 요약 영상을 만들어달라고 요청하면, 자동으로 ‘시놉시스 생성>음성 합성> Visual Montage 기법’을 활용하여, 나레이션까지 들어간 3분짜리 요약 영상을 새롭게 받아볼 수 있다고 하네요.

생성형 AI Competency Partner
AWS의 ‘생성형 AI Competency Partner’ 에 참여하고 싶다면? 메가존클라우드가 프로그램 시작부터 운영까지 함께 달리겠습니다.
마무리하며
더 자세한 메가존클라우드의 오퍼링과 상담이 필요하시다면, 전문가 상담문의(무료)를 통해 여러분의 IT 고민을 공유해주세요.
지금 AWS 홈페이지를 방문하시면 Partner Summit Seoul 2025 발표 자료를 PDF로 받아볼 수 있다고 하니 절호의 기회 놓치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