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invent 2024] Oracle Database@AWS를 통한 데이터 변환 – State Street 사례 소개

Summary

Oracle Database@AWS에 대해 알아보는 이 세션에 참여하세요. 이 서비스는 Oracle Exadata 워크로드를 최소한의 변경으로 AWS로 쉽고 빠르게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생성형 AI, 머신 러닝, 분석 분야의 최신 혁신 기술을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현대화하는 길을 제시합니다. 세계 최고의 금융 서비스 제공업체 중 하나인 State Street의 사례를 통해, Oracle Database@AWS를 어떻게 활용하여 AWS로의 마이그레이션을 가속화하고, Oracle과 AWS 전반에 걸친 데이터 자산을 통합하며, 애플리케이션을 현대화할 계획인지 들어보세요. Oracle Database@AWS의 다른 주요 이점들을 살펴보고, 시작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세요.


리인벤트 2024 테크 블로그의 더 많은 글이 보고 싶다면?

Tech Blog

AWS re:Invent 2024 Tech Blog written by MegazoneCloud

Overview

  • Title: Transform your data with Oracle Database@AWS, featuring State Street
  • Date: 2024년 12월 2일(월)
  • Venue: Mandalay Bay | Level 2 South | Oceanside B
  • Speaker:
  • Akshay Sharma(Managing Director, State Street)
  • Domninic Preuss(Director, RDS Commercial, AWS)
  • Industry: Cross-Industry Solutions

들어가며

이번 칼럼에서는 Oracle Databse@AWS 기술을 주제로 한 세션을 듣고, 여러분께 신규 기술 및 업데이트 된 정보를 공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세션에서 주목할 내용 Oracle Database 와 Migration 인데요, State Street 고객사의 마이그레이션 사례를 발표하며 새롭게 나온 Oracle Database@AWS에 대하여 어떤 기능을 하는 건지 알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빙산의 일각처럼 보이는 생성형 AI의 화려한 겉모습 아래에는, 견고한 데이터베이스 인프라가 숨겨져 있습니다. 실제로 생성형 AI의 성능과 신뢰성은 데이터베이스의 품질과 직결되어 있죠. 이는 마치 빙산의 수면 아래 거대한 기반이 있듯이,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의 성공 역시 데이터베이스라는 견고한 기초에 의해 좌우됩니다.

AWS에서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데이터 기반을 구축하는 데는 세 가지 핵심 요소가 있습니다.

첫째로, ‘Comprehensive’는 정형, 비정형, 벡터 데이터를 저장하고 쿼리하기 위한 포괄적인 서비스 세트를 제공합니다.

둘째로, ‘Integrated’는 zero-ETL을 포함한 데이터 통합 옵션을 통해 모든 데이터에 쉽게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마지막으로, ‘Governed’는 엔드투엔드 데이터 거버넌스 기능, 책임감 있는 AI 운영, 그리고 LLM과의 사용자 상호작용 규제를 포함하는 종합적인 관리 체계를 제공합니다.

이 세 가지 요소가 조화롭게 작동할 때, AWS에서 견고한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됩니다.

AWS에서 Oracle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는 방식이 더욱 다양해졌습니다. 기존에는 Amazon RDS for Oracle을 통한 관리형 서비스나, Amazon RDS Custom for Oracle을 통한 커스터마이징, 또는 Amazon EC2에서 직접 Oracle을 설치하여 자체 관리하는 방식이 있었죠.

이제 새로운 ‘Oracle Database@AWS’가 추가되었습니다. 이는 Oracle Exadata 워크로드를 AWS로 더욱 쉽게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게 해주는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특히 기존 Oracle 환경을 최소한의 변경으로 AWS 클라우드로 이전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매우 유용한 선택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로써 AWS에서는 기업의 다양한 요구사항과 운영 방식에 맞춘 총 4가지 Oracle 데이터베이스 구축 옵션을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Oracle Database@AWS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특징을 가진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1. AWS 내 전용 인프라에서 실행되는 OCI(Oracle Cloud Infrastructure) 서비스를 제공하여 안정적인 운영 환경을 보장합니다.
  2. AWS 서비스들과의 지연 시간이 매우 낮은 연결을 제공하여 빠른 데이터 처리와 응답이 가능합니다.
  3. AWS Marketplace를 통해 쉽게 서비스를 구독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Oracle Database@AWS의 세 가지 주요 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Migrate(마이그레이션): Oracle 데이터베이스 워크로드를 AWS로 쉽게 이전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옮기는 과정을 간소화합니다.
  2. Unify(통합): Oracle과 AWS 간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혁신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두 플랫폼의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3. Simplify(단순화): 관리 및 운영을 단순화하여 효율성을 높입니다. 이는 운영 부담을 줄이고 더 중요한 비즈니스 과제에 집중할 수 있게 해줍니다.

AWS에서 Oracle 워크로드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세 가지 핵심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Oracle Exadata 워크로드와 RAC(Real Application Clusters)를 AWS로 최소한의 변경으로 쉽고 빠르게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2.  이는 기존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클라우드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3. AWS 서비스들과 Oracle Exadata Database Service 또는 Oracle Autonomous Database를 전용 인프라에서 결합하여 다양한 사용 사례와 워크로드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4. 또한 OCI 서비스의 높은 가용성과 Amazon S3를 활용한 데이터베이스 백업을 통해 높은 복원력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Oracle과 AWS 간의 데이터 통합 혁신에 대한 세 가지 주요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Oracle Database@AWS와 AWS 서비스 간의 저지연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빠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합니다. 이는 실시간에 가까운 데이터 접근과 처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2. Zero-ETL 통합을 통해 AWS Analytics 서비스와 연동하여 더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얻고 새로운 혁신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데이터 변환 과정 없이 직접적인 분석이 가능함을 의미합니다.
  3. Amazon EC2, EKS, ECS와 Oracle Database의 AI Vector Search 같은 기능을 결합하여 확장 가능한 마이크로서비스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Oracle Database@AWS는 관리와 운영을 단순화하기 위한 세 가지 주요 이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1. Oracle과 AWS 간의 통합된 경험을 제공합니다. 협업 지원, 구매, 관리, 운영 등의 측면에서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기존의 AWS와 Oracle Database 기술, 자동화, 프로세스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팀이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부담 없이 기존 지식을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3. AWS Management Console, CLI, API, 모니터링과의 기본 통합을 통해 관리와 운영을 단순화합니다. 이를 통해 단일 인터페이스에서 모든 리소스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state street 사의 Database 마이그레이션을 설명한 부분인데, 정확히 이해를 못했지만 아는 선에서 설명해보겠습니다.

State Street의 멀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전략

  1. 지역 구성: Primary Region(버지니아)와 Secondary Region(캘리포니아)으로 구성 /두 지역 간 저지연성 네트워크와 재해복구(DR) 구성

  2. 클라우드 워크로드 배치 전략:
    a. AWS Native 서비스
    b. Azure 서비스
    c. VMC on AWS
    d. OCI (개발용 데이터베이스만)

  3. Co-location(코로케이션) 센터 활용:
    a. 클라우드와 가까운 위치에 구성하여 비클라우드 워크로드 호스팅
    b. 메인프레임
    c. 미드레인지 시스템
    d. HCI(Hyperconverged Infrastructure)
    e. OCI Exadata@Customer
    f. AWS Outposts 등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플랫폼

  4. 구성특징:
    a. 거래소 연결, 클라이언트 크로스 커넥트, 규제 요구사항 등을 고려한 워크로드를 위한 별도의 코로케이션 센터 운영
    b. 데이터센터 이전 계획과 현대화 수준에 따른 마이그레이션 전략 수립

전체적으로 State Street가 복잡한 레거시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현대화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State Street의 앞으로의 계획을 4가지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Oracle Database@AWS에서 Exadata Database Service의 파일럿 프로그램을 2025년 1분기에 시작하고, 2025년 4분기까지 완전히 검증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2. AWS로의 애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을 가속화하여 현대화를 추진하고, 기존 데이터센터 철수 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
  3. AWS의 다양한 서비스와 생성형 AI 기능을 활용하기 위한 견고한 데이터 기반을 구축하여 혁신을 추진합니다.
  4. Autonomous Database Services에 대한 검토와 계획을 수립합니다.

이는 State Street가 단계적으로 클라우드로 전환하면서, 특히 Oracle 데이터베이스 환경의 현대화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생성형 AI와 같은 최신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준비도 함께 진행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결론

이번 세션을 들으며 AWS가 온프렘 고객사를 잡기위해 노력을 많이하고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기존 존재하는 RDS나 커스텀한 Database 서버의 마이그레이션은 매우 까다롭고 최적화가 쉽지않은 부분이었는데, 이번 Oracle Database@AWS 출시를 통해 기존 온프렘의 고객사들이 이를 계기로 클라우드로 넘어오는데 촉진제가 되어주었으면 하는 개인적인 바람을 가져봅니다.
글 │메가존클라우드, MSC, Finance Team, 안영건
게시물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