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invent 2024] 포용적인 이커머스를 위한 Grupo Boticário의 AI 접근성에 대한 여정
Summary
브라질의 저명한 뷰티 기업인 Grupo Boticário는 AI를 활용하여 이커머스 플랫폼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정을 공유합니다. Amazon Bedrock과 Anthropic Claude 3 Sonnet 모델을 사용해 제품 이미지에 대한 대체 텍스트 생성을 자동화하고, 시각 장애가 있는 사용자의 경험을 혁신하고 검색 엔진 인덱싱을 개선했습니다.이 세션에서는 Grupo Boticário의 Gen AI 접근 방식에 대해 살펴봅니다.
리인벤트 2024 테크 블로그의 더 많은 글이 보고 싶다면?
Overview
들어가며
이번 칼럼은 Grupo Boticário의 Gen AI 사용 사례에 대한 이야기를 전달 드리려고 합니다. Grupo Boticário는 브라질의 저명한 뷰티 그룹으로 14개의 다양한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온라인 사용자 경험의 어려움을 강조하며 Gen AI를 사용하여 제품의 대체 텍스트를 생성하는 등 장애가 있는 고객들을 위한 기능을 자동화한 경험을 공유하였습니다.
1. 포용과 Gen AI
전 세계 인구의 16퍼센트는 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Grupo Boticário는 이렇게 사회에서 16퍼센트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고객 경험 또한 중요하다고 이야기 하며 대체 텍스트 등 그들을 위한 기능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생성형 AI 경험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이런 포용적인 태도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 뿐만 아니라 다른 세대에게도 긍정적입니다. Z세대, 밀레니얼 세대는 특히 다른 사람의 경험에 민감하게 반응해, 다른 이들의 부정적인 경험이 이 세대의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이런 포용적 태도는 비즈니스적 가치도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Grupo Boticário의 포용적 AI 예시
Grupo Boticário의 제품 중 63퍼센트 이상의 제품이 다양성과 포용성을 고려한 제품들이라고 합니다. 장애가 있는 사람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 스마트 립스틱, 쉽게 사용 가능한 브러시 등 포용적인 접근 기술을 개발해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고객이 화장품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또, Amazon Bedrock을 활용해 시각적 정보와 AI를 기반으로 한 제품 설명 자동화를 구축했습니다. AI를 사용한 포용성을 고려한 방식으로 사회적 가치와 비즈니스적 가치를 동시에 실현하였습니다.
제품 사진을 설명하는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SNS에 올라가는 사진에도 #ForEveryoneToSee 를 통해 제품 이미지에 대한 설명을 함께 첨부합니다.
이런 제품 사진에 대한 설명을 생성하기 위해 Grupo Boticário는 Claude 3 Sonnet을 사용했습니다. 인프라 아키텍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프롬프트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막연하게 제품의 성격을 고려하여 이미지를 설명하라는 내용의 프롬프트였다면, 이후에는 조금 더 구체적인 상황을 설명하는 프롬프트를 사용하도록 고도화 되었다고 합니다.
위의 방법들을 사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커머스의 내부적으로 서치가 많이 향상되었고, 프롬프트와 SEO 모두 큰 발전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3개월 안에 27,000 새 이상의 이미지들에 대한 답변이 가능하도록 만들어 두었습니다.
결론
Grupo Boticário는 이커머스 사용자 중 장애를 가진 분들이 겪는 온라인 경험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 Gen AI를 활용한 사례를 공유했습니다. 이들은 Gen AI를 통해 제품의 대체 텍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등 장애가 있는 고객들을 위한 기능을 구현했습니다. 이런 자동화 프로세스는 기존의 수동 입력 방식보다 빠르고, 일관성 있습니다. 또, 이렇게 인식한 다양한 이미지 데이터를 학습시켜 지속적으로 더욱 발전된 결과를 낼 수 있다는 확장성도 있습니다.
이와 같은 자동화 기술은 운영 측면에서도 방대한 제품 카탈로그를 보유한 이커머스 플랫폼에서는 AI를 통해 대체 텍스트를 자동 생성함으로써 콘텐츠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업데이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큰 이점을 제공합니다. AI가 오늘날 많은 이들의 편의성과 생산성을 높이고 있는 가운데, 이번 세션을 통해 가장 의미 있는 편의성이 무엇인지 깊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AI를 통해 장애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용자가 동일한 정보를 얻고, 동등한 사용자 경험을 누릴 수 있는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