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이야기] 美, 연이은 사이버 보안 사건·사고!? 지금이야말로 클라우드 보안 주목할때
들어가며
美 재무부도 털렸다! 사이버 보안 사건 발생
*출처: 中 배후 추정 해커, 美 재무부 털었다 … “중대 사이버 보안사건”-뉴데일리
美 스타벅스, 랜섬웨어 때문에 근무 스케줄링 시스템 3주 동안 마비
*출처: 美 스타벅스, 해킹으로 마비된 스케줄링 시스템 복구-ZDNET
美 크리스피크림 도넛, 사이버 공격 당해
*출처: 美 크리스피크림 도넛, 해커 공격 당해-ZDNET
美 의료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사이버보안 정책 강화
미국은 2023년 기준 사이버 보안 사고로 인해 미국 내 1억 6천 7백만 명이 넘는 의료 정보가 유출되거나 피해를 봤다고 합니다. 2019 년 이후 해킹 과 랜섬웨어로 인한 대규모 의료 정보 유출 사건 비율이 각 89%와 102% 증가했다고 하는데요.
미국 보건복지부(HHS)는 이러한 정책을 진행하기 위해 첫해 약 90억 달러(약 13.2조 원)이 필요하며, 2~5년까지 매년 약 60억 달러(약 8.8조 원)이 필요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에 대한 미국 재무부는 60일 간 공공 의견 수렴 기간을 운영하여 대안을 발표하겠다고 하네요.
*출처: 美 백악관 “의료정보 유출 잇따라…사이버보안 강화 필요”-ZDNET
AWS, AI에 대응할 수 있는 美 클라우드 보안 강조
AWS 보안총괄책임인 마크 라이랜드는 최근 국내 언론 인터뷰를 통해 ‘생성형 AI와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보안 전략’에 대해 생각을 밝혔습니다. 그는 생성형 AI를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통과 최신 기술을 합쳐야하며, (전통적인 보안으로) 시스템 최소 접근 권한과 데이터 암호화, 기밀 컴퓨팅 보안 조치를 취하고, (최신 기술로) AI로 AI를 점검하는 방식을 제안했습니다.
즉, AI를 이용한 사이버 범죄를 대응하기 위해서 AI를 이용해야 한다는 것인데요. AI와 보안까지 모두 잡고 싶으시다면? 메가존클라우드 AI와 보안전문팀에게 한 번에 문의하고, 먼저 AI 범죄에 사전에 대응하실 수 있답니다.
*출처: [인터뷰] “AI만을 위한 보안책 없어…美 클라우드법 우려 해소 노력”-ZDNET
美, 중국산 인터넷 공유기 사용 금지 검토
현지 업계에 따르면 미국 가정과 소기업에서 사용하는 인터넷공유기(라우터)의 65%가 중국의 특정기업의 제품이라고 하는데요. 2024년 12월 18일 미국 외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중국 기업의 ‘인터넷 공유기(라우터)’를 통해 해킹 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의심하고 있으며, 중국 화웨이를 이어 또 다른 중국산 통신 장비에 대해 사용 금지 조치를 고려한다고 밝혔습니다.
*출처: 美, 중국산 인터넷 공유기 사용 금지 검토-ZDNET
마무리하며
이처럼 한국-미국 등 2가지 이상의 글로벌 마켓을 공략하면서 ‘클라우드 보안’까지 고려한 전문 솔루션이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메가존클라우드의 테크 전문팀이 여러분의 글로벌 사업과 보안 이슈까지 따로 알아보실 필요가 없도록 한 번에 청사진을 그려드립니다. 자세한 상담이 궁금하시다면 여러분의 IT 고민을 공유해주시면, 산업 및 서비스별 전담팀이 배정되어 여러분의 고민을 성심성의껏 해결해드립니다.
그럼 저는 다음달에도 유익하거나 이색적인 현지 소식을 들고 여러분과 함께 미국 이야기를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이야기 및 글로벌 이야기 시리즈 업데이트를 메일로 받아보시고 있으시다면, 메클레터를 구독하시면 매월 마지막 수요일(단, 공휴일과 겹칠 시 1주 빨리)에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메클레터 구독하기
🧰 IT 고민? 글로벌 비즈니스 고민? 한 번에 상담하기
글 │메가존클라우드 마케팅그룹 김주성 매니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