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Global] 美 무역장벽 보고서와 한국 IT시장에서 생존 전략 (feat. CSAP)
들어가며
또한 최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국가별 무역 평가 보고서(NTE)’를 미국 의회에 제출했다고 합니다. 이 보고서는 미국 수출 기업들이 해외 시장에서 겪고 있는 무역 장벽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매년 발간되는 자료예요. 미국 기업의 해외 진출과 글로벌 사업 확장을 지원하기 위해 작성되는 만큼, 미국 정부의 관심이 어디에 집중돼 있는지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기도 하죠.
특히 이번 보고서에서는 한국에 대한 내용이 무려 약 7쪽에 걸쳐 다뤄졌는데요, 이는 USTR이 한국 시장에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잘 보여줍니다.
그래서 오늘 포스팅에서는 이 국가별 무역 평가 보고서(NTE) 발표 이후, 한국 IT 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미리 예측해보고, 우리가 어떻게 슬기롭게 대응해 나갈 수 있을지 함께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주목하는 한국 시장
비관세장벽(Non-Tariff Barriers)
예를 들어, 정부조달제도, 관세평가제도, 수입할당제, 수입과징금, 수입예치금, 무역금융제도 등이 무역장벽 또는 비관세장벽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국가별 무역장벽 보고서(NTE: National Trade Estimate Report)’를 통해, 아래 항목들에서 한국 정부가 자국 기업에 유리하도록 미국 기업을 차별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미국 정부가 자국 기업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이들 항목에 주목하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2025년 미국 정부와 미국 기업이 주목하고 있는 IT 관련 이슈는 무엇일까요?
네트워크 망 사용료
관련 사안으로는, 지난 2025년 4월 29일, 제21대 국회에서 국내 이동통신사와 미국 기업 간 법적 분쟁과 관련된 법안이 발의되었으나 결국 폐기되었습니다.
참고로 제21대 국회에서는 총 9,478건의 안건이 처리되었으며, 이 중 9,086건이 법률로 반영되었고, 392건은 법률로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미처리(계류)된 법안은 16,379건에 달했습니다. 이에 따라, 21대 국회는 발의된 법안 수는 역대 최다였으나, 처리율은 최저로 회자되고 있습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2022년부터 미국 기업의 이익 보호를 위해 지속적으로 네트워크 사용료 문제를 제기해왔으며, 이 이슈는 향후 다시 부각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에 따라, 국내 ISP 기업(SK브로드밴드, KT, LG유플러스 등)의 동향을 주의 깊게 살피고,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데이터 현지화? 개인정보 및 데이터 보호!
한국 기반 데이터 반출 제한
사실 이런 요구는 한국만의 입장은 아니에요. 베트남이나 중국 같은 다른 나라들 역시, 자국에서 수집된 정보를 해외로 반출하는 걸 금지하고 있거든요. 각국 정부가 국가 안보와 데이터 주권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볼 수 있죠.
개인정보 보호법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한 경우 ‘글로벌 전체 매출을 기준’으로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고 개인정보 국외 이전을 중단시킬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한국의 개인정보보호법 때문에 데이터의 자유로운 국경 간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는 것이 미국의 입장인데요.
사이버 보안법을 고려한 해외 현지 IDC와의 하이브리드 인프라 구성 방법
*참고 영상: [웨비나 : ‘Go-Viet’ 베트남 비즈니스 시, 알아야 할 다양한 TIPS!] AWS 활용시 사이버 보안법을 고려한, 베트남 현지 IDC와의 하이브리드 인프라 구성 방법
해외 진출의 파트너, 메가존클라우드
해외 진출 및 글로벌 마켓을 고려하고 있는 기업이라면 미시적 관점과 함께 거시적 관점에서 함께 클라우드 도입 및 확장을 할 수 있는 전략을 세우셔야 하는데, 이에 대해 어떻게 글로벌 테크 전략을 세워야하는지 고민이 있으시다면, 여러분의 고민을 상세히 메가존클라우드와 나눠주세요.
메가존클라우드는 미국, 캐나다, 일본, 중국, 베트남, 홍콩, 싱가포르 등 해외 현지법인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문가 상담(무료)을 통해 여러분께 맞춤형 솔루션을 제안드릴 수 있답니다.😘
CSAP 인증을 받는 것이 왜 어려울 까요?🤔
1️⃣ 복잡한 인증 절차와 서류 준비
2️⃣ 인증 기준에 맞는 인프라 설계 및 구축
3️⃣ 취약점 점검 및 모의 침투 테스트
4️⃣ 전문성 및 사내 리소스 한계
하지만 많은 기업들이 준비 과정에서 위와 같은 문제를 겪고 있으며, 한국의 인증 절차 및 서류에 익숙치 않은 외국 기업이라면 더욱 큰 장벽으로 느낄 수 있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그 어려운 것을 해냈다! AWS CSAP 등급 획득🧚🏻♂️
한국-미국의 클라우드 도입 및 CSAP 갈등의 해결사, 메가존클라우드🧙🏻
메가존클라우드와 저희의 계열사는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 미국의 주요 CSP(Cloud Service Provider,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의 글로벌 파트너사로써 글로벌 CSP의 클라우드 도입 및 전환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CSAP 인증 절차 오퍼링도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아직 부족하다구요? 그럴 수 있죠! 그렇다면 어떤 도움이 필요하고,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여러분의 글로벌 사업 고민과 IT 고민을 함께 공유해주세요. 메가존클라우드의 IT 전문가 및 해외 법인의 전문가의 다년간의 지식과 노하우를 합쳐 여러분께 필요한 오퍼링을 제공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IT 고민? 글로벌 비즈니스 고민? 한 번에 상담하기
오늘 이야기도 재미있게 보셨나요? 이러한 메가존클라우드의 IT 산업 트렌드 및 인사이트를 놓치고 싶지 않으시다면, 뉴스레터를 구독하시고, 매월 마지막 수요일에 이메일로 유익한 정보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저는 다음에 또다른 재미있는 이야기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메클레터 구독하고 수요일에 만나요!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메클레터 구독하기
글 │메가존클라우드 마케팅그룹 김주성 매니저